妾薄命(첩박명) . 妾薄命(첩박명) "미움도 사랑도 부질없어라" 이 곡(李穀) 生不識人面(생불식인면) 평생에 다른 사람 얼굴 아는 이 없어 長年在深屋(장년재심옥) 오랜 세월 깊은 방에 있었지요 一爲色所誤(일위색소오) 한 번 내 신세가 잘못되어서 返遭珉欺玉(반조민기옥) 옥돌을 옥인 줄 알고 속았지요 憎愛古無常(증..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송강정철 한시전집4부 - 七言律詩 송강정철 한시전집4부 - 七言律詩 편집/晶石,梁太榮 26. 贈別李都憲明甫名德聲 이도헌 명보에게 증별하다(이름은 덕성이다) 霜臺執法玉堂仙 霜臺에 법 관장하는 玉堂의 신선이여 別後流光似急川 이별후 세월이 급한 냇물처럼 흘렀구려. 世事十年頭盡改 세상일 십년에 머리색 모두 바뀌었으니 離懷一..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시조] 訓 民 歌 16 수 / 정 철 訓 民 歌 정 철 [1] 아바님 날 나흐시고 어마님 날 기르시니 두분 곳 아니면 이 몸이 사라시랴 하늘갓튼 가업슨 은덕을 어데 다혀 갑사오리. [2] 님금과 백성과 사이 하늘과 땅이로다. 내의 셜운 일을 다 아로려 하시거든 우린들 살진 미나리 홈자 엇디 머그리. [3] 형아 아애야 네 살할 만져 보아 뉘손듸 ..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山 歌 (얄미운 새벽 닭) - 黃遵憲 山 歌 (얄미운 새벽 닭) - 黃遵憲 催人出門鷄亂啼 送人離別水東西 挽水西流想無法 從今不養五更鷄 어서 길나서라고 닭이 울어대어 임 보내며 동 서로 헤어졌네 강물 서쪽으로 흐르도록 되돌릴수 없으니 다시는 새벽에 우는 닭을 기르지 않으리 - * [국악 명상곡] - "야속한 님"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山 歌 (얄미운 새벽 닭) - 黃遵憲 山 歌 (얄미운 새벽 닭) - 黃遵憲 催人出門鷄亂啼 送人離別水東西 挽水西流想無法 從今不養五更鷄 어서 길나서라고 닭이 울어대어 임 보내며 동 서로 헤어졌네 강물 서쪽으로 흐르도록 되돌릴수 없으니 다시는 새벽에 우는 닭을 기르지 않으리 - * [국악 명상곡] - "야속한 님"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송강정철한시전집4부 - 七言律詩 송강정철한시전집4부 - 七言律詩 편집/晶石,梁太榮 26. 贈別李都憲明甫名德聲 이도헌 명보에게 증별하다(이름은 덕성이다) 霜臺執法玉堂仙 霜臺에 법 관장하는 玉堂의 신선이여 別後流光似急川 이별후 세월이 급한 냇물처럼 흘렀구려. 世事十年頭盡改 세상일 십년에 머리색 모두 바뀌었으니 離懷一..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산중설야(山中雪夜) / 이제현(李齊賢) 아름다운 명상음악 모음곡 < 산중설야(山中雪夜) / 이제현(李齊賢) - 눈 내리는 산속 - 이불도 썰렁하고 등불도 희미하고 사미(沙彌)는 밤새도록 종도 안 치고, 나그네가 일찍 깨서 심술이 났나. 소나무를 뒤덮는 저 눈 좀 보렴. 山 中 雪 夜 (산중설야) - 산중의 눈 내리는 밤. 어느 절을 생각할 일 紙 被..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제서루이수1(題西樓二首1) 제서루이수1(題西樓二首1) - 유성룡(柳成龍) 서루에 제하다 貧賤人所厭(빈천인소염) 가난과 천함은 사람들 싫어하고 富貴人所求(부귀인소구) 부귀는 누구나 바라는 것이어라 悲歡與得喪(비환여득상) 슬픔과 즐거움, 얻음과 잃음은 擾擾不知休(요요불지휴) 요란하게 그칠 줄을 모른다 人生在世間(인생..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취하신 님께(증취객·贈醉客) ‘취하신 님께(증취객·贈醉客)’ - 이매창(李梅窓) 醉客執羅衫 (취객집나삼) 羅衫隨手裂 (나삼수수렬) 不惜一羅衫 (불석일나삼) 但恐恩情絶 (단공은정절) 술 취하신 님 날 사정없이 끌어 당겨 끝내는 비단 저고리 찢어 놓았지요 비단 저고리 아까워 그러는 게 아니라 맺은 정 끊어질까 두려워 그러지..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
황진이 시조5편 1) 다정다감하고 재색을 겸비한 조선조 최고의 명기 황진이는 전국에 공식적으로 약 3만 명의 기생이 있었다고 알려진 조선 중종 때의 송도 출신 기생이다. 사대부 시조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과감하고 적나라한 애정표현으로 관습화되어 가던 시조에 활력을 불어 넣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 ***아름다운글,시***/漢詩(한시) 2010.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