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으로 감상하는 국화 11점 산수화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사군자 그림이다. 그것은 산수화를 그리는 화가들이 사군자를 그리며 그것은 산수화와 사군자가 不可分의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산수화와 마찬가지로 왜 이 네 가지의 식물을 불변의 소재(不變의 素材)로 하여 그려야 되었는가에 대한 理由가 설명.. ***동양화가 문인화***/서예,사군자 2009.03.19
신윤복의 그림세계 제목과 해설이 있어 보기가 아주 편안합니다. 신윤복은 화원 가문인 신한평의 장남으로 1758년 태어났다. 도화서 화원으로 벼슬이 첨절제사에 이르렀으나 속화(俗畵)를 즐겨 그려 후에 쫓겨났다는 이야기만 전해질 뿐 개인적인 생애와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무하다. 다만 권력과 조정의 그늘.. ***동양화가 문인화***/서예,사군자 2009.02.28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김홍도와 신윤복의 ♣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김홍도와 신윤복의 ♣ 조선시대 쌍벽을 이루는 풍속화가 김홍도와 신윤복의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사제지간이자 연인으로 그려지는 '바람의 화원'과 달리 실제 두 사람이 교류한 흔적은 역사적으로 찾아볼 수 없다. 모두 화원 가문 출신으로 천부적인 소질을 타고났음에도 불.. ***동양화가 문인화***/서예,사군자 2009.01.16
신사임당의 묵죽 이 <묵죽>은 사임당에게 전칭된 네 폭 화첩중의 하나이다. 죽간(竹竿)이 비교적 가느다란 두 그루의 대나무가 각각 농묵(濃墨)과 담묵(淡墨)으로 묘사되어 있다. 담묵으로 된 대나무는 겨우 보일 지경으로 그림자와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대나무 잎은 대개 네 개가 한 조를 이루나 그 중 하나는 .. ***동양화가 문인화***/서예,사군자 2008.02.19
남명선생님 입상(2000.견본 채색) 남명선생님 입상(2000.견본 채색) 작품 제 400 번째 현 덕천 서원에 조각되어 있는 옥돌 상이 이 그림을 밑바탕 하여 중국인 조각가가 만든 것입니다. 방울이 스스로 깨우치는 성성자 이고 왼손에 말아서 들고 있는 것이 임금께 올리는 상소문입니다. 그리고 옷깃 안에는 항상 敬義劒(칼)을 차고 다녀셨다 .. ***동양화가 문인화***/서예,사군자 2007.11.11
선조대왕친필 선조 대왕 친필 千門中斷楚江開:천문산 끊긴 곳에 초강이 열리고 碧水東流至北廻:동으로 흐르는 푸를 물은 북쪽에서 돌아 흐르네. 兩岸靑山相對出:양 언덕의 청산이 마주하여 솟았네 孤帆一片日邊來:한 조각 외론 배가 태양가로 나오네. ***동양화가 문인화***/서예,사군자 2007.08.28
왕들의 서예 列聖御筆十二編 肅宗大王御筆 使人長智英如學:지혜를 기름은 배옴만한 것이 없고 若玉求文必待琢:구슬의 문채는 다듬기를 기다리는 법. 經書奧旨干誰問:경서의 깊은 뜻을 누구에게 물으랴? 師傳宜親不厭數:스승을 친히하여 자주 물어야 한다네. 英祖大王御筆 翼宗大王御筆 仁祖大王御筆 千門中斷.. ***동양화가 문인화***/서예,사군자 2007.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