情事 - 김삿갓
김삿갓이 어느 마을을 지나게 되었다.
그런데 그 마을에 초상이 났다며 시끌벅적한 것이 아닌가?
그래서 마을 사람에게 물어 봤더니, 사또의 아들이 죽었다며,
그 사유를 이야기하는데 내용인즉 대충 이러하더라.
사또의 아들이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허구한 날 기생집에 들러 기생들이나 끼고 진종일 술이나 퍼 마시는 것을 본 사또가 자식이 해 달래는데로 다 해 주면서, 책을 좀 읽게 하려고 불러 놓고 물어 봤더니, 얼굴이 반반한 기생 하나를 집에 들여 주면 책을 읽겠다고 해서 그 기생을 데려다 아들 놈의 방에서 기거하게 해 줬는데, 그 아들 놈이 이제는 멀리 기생방을 찾아가 눈치 봐가며 기생을 껴안지 않아도 되므로 옆에 두고 밤이나 낮이나 끼고 즐기다 氣가 쇠하여 죽었다는 것이다.
이 얘기를 들은 김삿갓은 혀를 끌끌 차며 '情事'라는 제목으로 아래와 같은 시를 한 수 지어 얘기를 해 준 이에게 주며 "죽어도 좋은 것을 어쩌리" 하면서 마을을 떠났단다.
爲爲不厭更爲爲 (위위불염갱위위)
不爲不爲更爲爲 (불위불위갱위위)
해도해도 싫지 않아 다시 하고 또 하고
안 한다 안 한다 하면서도 다시 하고 또 한다.
남녀가 즐기는 운우의 정은 아무리 해도 끝도 없고,
하고 또 해도 싫증이 나지 않는 것인데,
이를 불과 네 글자를 가지고 절묘하게 표현한 김삿갓의 詩才는
과연 달인이라 아니할 수 없구나.
--------------------------------------------------------------
'***아름다운글,시*** > 漢詩(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중근 의사 명언 유묵 18점 (0) | 2010.04.12 |
---|---|
근심은 술잔에 띄우고 (0) | 2010.04.03 |
우리님 떠나시길래... (0) | 2010.03.20 |
次薛娘韻(설도 낭자의 시에 답함) (0) | 2010.03.20 |
妾薄命(첩박명) (0) | 2010.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