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이치는 영산강의 기상을 시각화한 영산강 죽산보의 유려한 전망대가 돋보이는 조감도. 4대강 살리기가 실현된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4대강의 16개 ‘명품’ 보(洑) 디자인이 공개됐다.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본부장 심명필)는 10월 27일 전국 4대강 유역에 설치될 보 조감도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16개 보 디자인은 턴키(Turn-key·설계와 시공 일괄 수주) 1차 실시설계 적격자로 선정된 대림, 현대, GS, SK, 대우, 삼성물산, 포스코, 두산, 현대산업개발, 삼성중공업, 한양건설 등 11개 건설업체가 제시한 것이다. 제출된 보 설계는 향후 실시설계 과정에서 조형미를 더욱 향상시키고, 수리모형실험 등을 거쳐 기술적인 문제 등은 보완해나갈 계획이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지난해 12월 15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추진’을 의결하며 출발했다. 올해 2월 5일 4대강 살리기 기획단이 발족한 데 이어 4월 15일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로 확대 개편됐다. 지난 4월 27일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용역 중간 발표회가 있었으며 이후 12개 ! 시도 설명회, 전문가 그룹 자문, 물환경학회와 수자원학회 등 관련학회 토론, 공청회 등을 거쳐 6월 8일 마스터플랜이 발표됐다. 16개 ‘명품’ 보 디자인은 이와 같은 마스터플랜에 따라 처음으로 만들어진 4대강 살리기 관련 ‘실물 디자인 1호’인 셈이다. 한강과 금강 각각 3개, 영산강 2개, 낙동강 8개 등 4대강에 설치될 16개의 보는 주변 경관과 인근 지역의 지리·역사·문화적 특색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설계됐다. 이들 보는 물놀이 시설과 생태공원 등 지역 주민들이 찾을 수 있는 쾌적한 수변공간을 조성해 다목적 기능을 갖출 계획이다.
</ STRONG>
금강 부여보는 백마강을 지키기 위해 돌아온 계백 장군이 말을 탄 모습을 형상화했으며, 낙동강 강정보는 후기 가야시대의 중심이라는 지역 특성을 반영해 가야금과 수레바퀴토기 등 문화적 상징성을 모티프로 해 디자인했다. 또 영산강 승촌보는 인근 나주평야의 쌀을 형상화했으며, 낙동강 합천보는 멸종위기에 놓인 국내 유일의 따오기 2마리를 ‘희망 심벌’로 도입하는 등 지역의 자연적 특성을 살렸다. 또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의 독창성과 측우기의 과학성 등을 가미한 금강 금남보 등 보마다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디자인되어 단순한 구조물 이상의 상징성과 의미를 갖게 됐다. ! 16개 보는 ‘다기능 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보마다 지역 주민들이 자전거를 타고 접근할 수 있는 공도교가 설치되고, 전망타워 등이 마련돼 편의시설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 야간조명 시설도 설치돼 밤과 낮이 다른 각양각색의 모습은 관광활성화에 기여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친환경도 보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다. 보 주변에는 다양한 어종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자연형 어도(魚道)를 설치해 생태계 단절 문제를 해소하고, 여울과 하중도(河中島)를 설치해 이동어류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하는 등 친환경성을 고려했다. 또 어도 관찰실을 두거나 공도교를 생태학습의 장으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보 주변은 생태공원으로 활용되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4대강에 설치될 16개 보는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라 보의 부분, 혹은 전체에 움직일 수 있는 가동보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홍수나 가뭄 때 수량 조절뿐 아니라 보 상류의 퇴적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유수의 흐름을 이용해 수질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일부 환경단체들이 우려하는 수질 악화에 적극 대처할 수 있다.
공개된 명품 보에 적용된 가동보는 크게 3종류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수문을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는 승강식 수문 2종(Roller Gate, Truss Gate), 평소 닫혀 있다가 필요에 따라 수문을 돌리면서 열게 되는 회전형 수문(Rising Sector Gate), 수문을 들어올리는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도식 수문(Flap Gate) 등으로 보의 위치와 지역 특성에 따라 수문은 수질 관리에 용이하도록 최적의 형태가 적용됐다. 특히 16개 보 모두에 소수력발전소가 설치되어 연간 2억7천8백48만 킬로와트시(kWh)의 청정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를 ? 렝막?환산하면 연간 발전수익이 2백89억원이나 된다. 또 연간 47만 배럴의 유류를 대체하고 15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가 있어 친환경 녹색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6개 보 가운데 낙동강의 강정보가 가장 길어 거의 1킬로미터에 가까운 9백53.5미터다. 반면 가장 짧은 보는 금강의 금강보로 2백60미터다. 명품 보 공개 자리에서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심명필 본부장은 “4대강에 설치될 보는 디자인과 기능적 요소뿐 아니라 환경적 요소도 고려됐다”며 “16개 보가 설치되는 지역마다 문화와 역사, 예술을 꽃피우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지역의 명품이 될 보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 B>한편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는 16개 보를 국민들에게 선보이고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기 위해 온라인 보 품평회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벤트는 10월 28일 시작돼 11월 6일까지 4대강 살리기 홈페이지(www.4rivers.go.kr)를 통해 진행되며, 16개 보 가운데 우수디자인 보를 선정하고 추첨을 통해 다양한 경품을 제공한다. 글·박경아 기자
4대강 살리기 비전인 ‘생명이 깨어나는 강, 새로운 대한민국’을 모티프로 경기 여주군의 군조(郡鳥)인 백로를 형상화해 인간과 자연이 물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공간구성을 했다. 보를 따라 커튼월 분수와 물놀이용 수중광장, 생태광장(모래비치) 등이 조성된다. 가동보는 승강식 수문을 사용해 보의 상하 양쪽으로 물을 보낼 수 있게 함으로써 홍수 때 통수기능을 높여 치수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포보 상부에 설치되는 공도교는 폭 7미터에 총길이 7백44미터로 유지관리용 크레인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보의 유지관리가 수월하다. 이포보 왼쪽에 설치된 소수력발전소는 전체 발전용량 3천 킬로와트 시설이다. 이포보 오른쪽에는 국내에서 가장 완만한 자연형 어도(魚道)를 만들어 물고기가 상하류를 자연스레 오갈 수 있는 생태환경을 만들게 된다.!
인근에 유네스코 지정문화재인 세종대왕릉이 자리한 여건을 살려 ‘세종 여주보, 시대의 문을 연 세종대왕의 위대한 정신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다’를 디자인 콘셉트로 삼았다. 해시계 모양을 반영한 인공섬 ‘세종광장’을 조성하고, 물 흐름을 조절하는 가동보는 자격루 물시계의 형상을 재해석해 시각화했다. 하천 폭 1킬로미터(저수로 4백80미터, 하천부지 5백20미터) 가운데 보의 길이는 4백80미터이며 보의 전 구간을 전면 가동보로 만들 계획이다. 이에 따라 홍수 때 수문을 모두 개방할 수 있어 홍수 조절에 유리하고, 수질 악화와 퇴적토사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 하천 폭 1 킬로미터 전체 구간에 설치되는 공도교의 폭은 전 구간이 7.5미터를 유지! 한다. 유지관리용 크레인 운영과 자전거 운행, 탐방객의 편의를 고려했다. 보의 왼쪽에 자리한 소수력발전소가 반지하라는 점도 특징이다.
‘남한강 물에 비치는 또 다른 세상’이란 콘셉트로 디자인해 ‘물빛누리 강천보’란 이름을 가졌다. 천혜의 자연환경, 역사와 문화를 가진 지역의 상징 여주8경과 여주군의 군조인 백로가 비상하는 모습, 지역 고유의 이미지를 고려해 웅장함과 고전의 현대적 이미지를 담아 디자인했다. 특히 교각은 황포돛배의 이미지를 살려 날렵한 모습을 하고 있다. 보의 길이는 4백40미터(가동보 3백50미터, 고정보 90미터)로, 가동보는 회전형 수문을 채택해 평상시 수위 조절과 수질오염 방지가 용이하고 1백 년에 한 번 오는 홍수에도 대비할 수 있는 홍수 통제력을 갖추도록 설? 壅틈? 공도교는 개방감이 뛰어난 복합트러스 교량 형식으로 길이 4백85미터, 폭 10미터로 지어진다. 우기에도 공사가 가능한 공법으로 건설된다.
국민 공모로 이름이 결정된 ‘세종시’를 상징할 수 있는 랜드마크적 상징물로 설계됐다. 한국의 문화, 예술, 과학의 우수성을 디자인화해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의 독창성과 측우기의 과학성이 시각화됐다. 또 충남 연기군의 상징인 제비와 금강에 흐르는 물결을 생동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디자인해 문화와 자연이 어우러지도록 표현했다. 보의 길이는 3백60미터(가동보 1백80미터, 고정보! 1백80미터)이며, 가동보는 개량형 전도식 수문을 적용하고 있다. 개량형 전도식 수문은 수위 조절이 자유롭고 정밀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질오염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소수력발전소는 발전용량 9백90킬로와트 규모. 또 자연수로형 어도와 여울 4곳이 설치돼 상하류 생태가 자연스레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됐다.
부여보는 백제 성왕이 수도를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이전한 ‘사비천도’란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가상스토리를 디자인화해 구성했다. 이에 따라 부여보 디자인은 ‘백마강을 지키기 위해 돌아온 계백 장군’을 가동보 수문 디자인 테마로 하여 부여보가 이루는 치수ㆍ이수 개념을 ‘수문장 이미지’로 표현했다. 부여보는 길이 6백20미터(가동보 1백20미터, 고정보 5백 미터)다. 가! 동보는 2단 셸게이트 형식의 승강식 수문 2개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퇴적토사 처리에 유리하고 유지관리와 보수가 용이하다. 길이 70미터, 폭 7미터의 공도교에는 전망 공간이 설치된다. 소수력발전소는 유량은 많은 대신 낙차가 적은 금강 상황에 적합한 ‘카플란 수차’를 적용했다. 어도는 다양한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고 경관이 우수한 자연형 어도로 계획했다.
부강한 백제의 회복을 꿈꾸며 ‘갱위강국(更爲强國·다시 강국을 이루다)’을 주장했던 무령왕을 상징하는 봉황을 디자인 모티프로 차용했다. 금강에 ‘백제의 황제, 봉황이 지키는 비단수’란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금강보에 ‘금빛나래보’란 이름을 붙여 봉황의 형상을 금! 강보 곳곳에 디자인으로 살렸다. 금강보의 길이는 2백60미터(가동보 2백21.5미터, 고정보 38.5미터)이며, 가동보는 수위 조절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승강식 주수문과 전도식이 가미된 조절수문을 조합했다. 공도교는 소수력발전소와 연결하기 위해 하천 폭보다 훨씬 긴 4백20미터 이상 규모로 계획돼 있다. 보를 넘어 큰 어종이 오갈 수 있도록 콘트리트 블록 조립형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설치하고, 치어 등 작은 어종을 위해 자연하도식 어도도 만들게 된다.
영산강 유역 특성을 반영해 ‘생명의 씨알’이란 콘셉트를 가지고 디자인했다. 5개의 교각은! 깨끗한 하천을 상징하는 쌀과 물새알을 모티프로 형상화했고, 가동보는 나주 쌀을 소재로 디자인한 것이 특징이다. 승촌보의 길이는 5백40미터(가동보 1백80미터, 고정보 3백60미터)다. 가동보는 승강식 수문 형식으로 보 위아래로 물 흐름이 가능하고 하부의 배사 기능도 우수하다. 길이 5백68미터, 폭 12.5미터의 공도교는 평상시 영산강 횡단용 차량 통행 등 용도로 사용하며 승촌생태호수공원, 역사문화마당 등으로 이어진다. 승촌보 상하류의 생태계 연결을 위해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적용하고 있다.< FONT style="FONT-SIZE: 13.5pt" face=Batang color=blue>
‘힘차게 굽이치는 기상이 느껴지는 남도의 영산강’을 주제로 설정한 죽산보는 강처럼 굽이치는 형상을통해 새로운 랜드마크로 연출됐다. 교각 위의 원형 전망대는 굽이치는 물결을 살린 디자인으로 전망대 안에서 사방을 조망할 수 있다. 죽산보는 길이 6백7미터(가동보 1백84미터, 고정보 4백23미터)다. 가동보를 기본계획(1백60미터)보다 24미터 확장해 홍수가 났을 때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현재 운항 중인 황포돛배 뱃길 연결과 고대 나주선 통항을 고려해 열린 나루(통선문)를 설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였다. 공도교는 길이 6백22미터, 폭 4.6미터로, 주변 수변공원과 원활하게 동선이 연결돼 관광객이 모일 수 있는 여건을 제? 幣?지역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였다.
경남 함안의 ‘아라가야’와 창녕의 ‘빛벌가야’라는 지역 역사를 반영해 디자인 콘셉트를 잡았다. 낙동강을 품은 큰고니의 날개를 모티프로 디자! 인된 함안보의 길이는 5백67.5미터(가동보 1백46미터, 고정보 4백21.5미터)다. 가동보는 구조물 높이가 낮은 회전형 수문 방식을 선정했다. ‘아라빛교’로 명명된 공도교는 길이 6백45.5미터, 폭 11.1미터다. 공도교와 수문 피어(Pier) 사이의 공간은 갤러리나 전시아트리움으로 활용돼 함안보와 수자원시설 홍보장소로 사용될 계획이다. 소수력발전소는 발전용량 1만2백 킬로와트 규모다. 생태계 보전을 위해 자연형 계단식 어도와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설치하기로 했고 샛강과 하중도 3곳, 법정보호종 서식지 등 4개 지구를 보존지구로 설정했다.
국내 최대 습지인 우포늪 생명물길 연결을 위한 생태복원 계획의 일환으로 멸종위기에 있는 따오기를 낙동강 살리기의 ‘희망 심볼’로 도입했다. 힘차게 날아오르는 따오기를 상징하는 ‘새-오름보’라는 별칭이 붙은 합천보의 길이는 3백22.5미터(가동보 2백18미터, 고정보 1백4.5미터)다. 가동보는 승강식 주수문과 전도식 수문 등이 복합된 조절수문으로 구성돼 정교한 수량 조절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길이 6백75미터, 폭 11.5미터의 공도교는 창녕군과 합천군을 잇는 교량의 역할과 다기능보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시설로서의 역할을 모두 충족하도록 차량 통행과 관광객 보행을 모두 고려했다. 보 설치로 단절이 예상되는 수생태계의 이동 통로 확보를! 위해 보의 상하부를 잇는 볼랜드식 어도를 설치한다.
! 항해를 시작하는 크루즈를 형상화해 새 시대에 대한 희망과 건강한 자연, 문화의 강을 열어가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했다. 달성보의 길이는 5백79미터(가동보 1백20미터, 고정보 4백59미터)로 설계했고, 가동보 형식은 회전형 수문을 적용했다. 평상시와 소규모 홍수 때 관리수위 유지가 용이하고 홍수가 나도 안전 치수가 가능하다. 공도교의 길이는 최대 홍수위를 반영해 설계했고, 폭 7.7미터에 유지관리용 크레인 하중이 반영됐다. 또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빗물 처리시설을 설치한다. 이곳 공도교는 복합트러스 거더교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개방감이 뛰어나다. 보의 왼쪽에는 자연형 어도, 오른쪽에는 인공형 어도를 설치해 모든 어종을 위한 생태 연결로를 확보하게 된다.
‘후기 가야시대의 중심’이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낙동 허브(Hub) 강정보’란 콘셉트를 가지고 디자인됐다. 강정보의 길이는 4대강 보 가운데 가장 긴 9백53.5미터(고정보 8백33.5미터, 가동보 1백20미터)다. 가동보는 회전형 수문으로 수위 조절과 배사 성능이 우수하다. 가야금을 재현해 ‘우륵교’로 이름 붙은 공도교는 탐방객들의 견학과 가동보의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길이 8백10미터, 폭 13.3미터이며 하천의 양안을 자전거도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공도교와 연결된 폭 1.1미터 폭의 보도는 대형 수레바퀴 모양의 전망시설인 ‘탄주대’로 이어진다. 수생태계를 위해 아이스하버식 어도와 자연형 어도등 어도 2개가 만들어진다.
인근 지역의 가산바위 전설을 구현한 철우 이야기를 스토리텔링으로 삼아 ‘낙동강을 수호하는 철우’를 콘셉트로 낙동강 물길을 형상화했다. 칠곡보의 길이는 4백 미터(고정보 1백68미터, 가동보 2백32미터)이며, 가동보는 승강식과 전도식 수문의 복합형 구조로 설계돼 흔치 않은 대규모 홍수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공도교는 길이 4백51.5미터, 폭 7미터다. 보의 흐름에 따라 체험형 전시공간이 들어서게 된다. 생태계 보존을 위한 어도는 상하류 높이 차와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자연형 어도와 풀형 어도의 복합형 어도가 설치된다. 또 여울 3곳을 만들어 작은 어류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하게 된다.
거북꼬리란 뜻을 가진 ‘구미(龜尾)’란 이름에서 나타나는 거북과 용을 디자인으로 형상화했다. 구미보의 길이는 6백40미터(가동보 1백3.5미터, 고정보 5백36.5미터)이며, 가동보의 형식은 승강식과 전도식을 함께 적용해 평상시나 홍수 때 유량 조절이 쉽도록 설계했다. 구미보의 유지관리와 관광객들의 이동통로 역할을 할 공도교는 길이 6백49미터, 폭은 4.9~6.4미터로 평소 산책로와 자전거도로를 겸하게 된다. 보의 중앙에는 사방을 조망할 수 있는 거북 형상의 전망타워가 있어 공도교를 통해 올라갈 수 있다. 생태계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어종이 오갈 수 있도록 계단식과 아이스하버식을 병행한 복합형 어도를 계! 획했다. 또 생태학습용 어도 관찰대와 어도 관찰데크도 설치된다.</ STRONG>
경북 상주와 의성, 구미 등 세 지역의 자연과 역사, 문화가 융합되고 전통적 이미지가 반영된 고풍스러운 경관을 연출하도록 디자인했다. ‘자연은 이롭게, 사람들은 즐거운, 생명이 유익한 생태환경 조성’이라는 주제의 ‘이락지천(利樂之川)을 디자인 콘셉트로 삼았다. 낙단보의 길이는 2백86미터(고정보 1백44.4미터, 가동보 1백41.6미러)다. 가동보는 홍수 때 유수 소통을 최대화하고 신속한 조작과 능동적 대처가 가능한 셸 타입의 2단 승강식 수문을 계획했다. 1백41.6미터의 공도교는 ‘사람과 함께하는 공간’이란 주제 아래 전통 디자인과 야간 조명을 특색으로 내세우고 있다. 자연형 수로와 아이스하버식 복합형 어도가 설치되며 주변에 생태공원과 수변공원 등이 들어선다.
상주에 전래되는 ‘오복동의 전설’이란 지역 특성을 반영해 ‘5가지의 낙(樂)이란 콘셉트를 가지고 디자인했다. 상주보의 길이는 3백35미터(가동보 1백5미터, 고정보 2백30미터)로, 승강식 가동보를 설치해 수질 관리와 홍수 등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설계됐다. 공도교는 길이 5백40미터, 폭 5~11미터로 전망대가 설치된다. 소수력발전소는 사용수량 및 정격낙차에 적합하고 효율이 우수한 ‘카플란 수차’ 방식을 선정했다. 생태계 보호를 위해 자연형 수로식 어도와 여울, 하중도를 설치해 ! 어류를 위한 휴식공간으로 만든다. 조류 관찰대와 강수욕장, 생물서식처 등 도 들어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한다.
|